비만도 계산기 – 표준몸무게 체질량지수(BMI) 체크 계산

인터넷 존문가

비만도 계산기 활용을 통해 나의 키와 몸무게를 기준으로 비만 지수를 체크해 보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간단하게 성별, 키, 몸무게, 현재 나이를 입력하면 표준몸무게 기준 체질량지수 BMI 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현재 몸무게 기준 저체중인지 정상제중인지, 과체중인지 비만, 고도비만인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비만도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활용을 통해 쉽게 비만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쉬운 계산을 위해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간이 계산기를 이용하며 성별, 키, 몸무게, 나이를 입력하면 바로 계산 결과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만도

비만도는 비만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비만이란 체지방의 절대량이나 비율이 증가한 상태를 말하기 때문에 이러한 판별에는 체지방을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 체중을 측정하여 (현재 몸무게/표준 몸무게) X 100(%) 으로 비만지수를 계산합니다.

계산기

계산기 활용을 통한 비만지수 계산에는 네이버 비만도계산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간단한 입력으로 산출해볼 수 있습니다.

비만도 계산

비만도 계산 – 네이버 계산기 캡처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비만도계산 서비스에 접속하면 위 그림과 같은 계산기 항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만도를 계산해 보기 위해서는 성별, 신장, 체중, 나이를 입력 후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간단하게 계산이 진행됩니다.

비만도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 네이버 캡처남자, 키 180cm, 몸무게 76kg, 나이 30세로 예시 조건을 기준하여 실제 계산기를 돌려본 모습입니다. 이 경우 나의 신체질량지수 BMI 는 23.46 으로 과체중에 해당하며 정상 범위에서 조금 오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몸무게라 할 수 있는 표준몸무게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위 계산기에서 체중 수치를 과체중인경우 낮춰서, 저체중인경우 높여서 입력후 계산해본다면 내 키와 나이를 기준으로 비만도 정상 범위내에 형성되는 표준몸무게 적정 수치를 확인할 수 있을것입니다.

비만도 표준 몸무게 적정 수준

비만도 표준 몸무게 적정 수준 – 네이버 캡처

위에서 예시로 들은 남자, 신장 180cm, 체중 76kg, 30세 의 경우 BMI는 23.46 으로 과체중에 해당하였으며 체중에 적절한 숫자를 기입하여 계산을 돌려본 결과 몸무게 60kg 일때 BMI 수치가 18.52 로 정상 구간에 들어선것을 볼 수 있으며 74kg 일 경우 BMI 22.84 로 정상구간 끝자락에 위치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예시로 설정한 키 180cm 30세의 남성의 경우 적정 체중 구간은 60kg~74kg 이라고 볼 수 있을것입니다.

비만도 계산기 활용을 통한 나의 신체질량지수 BMI 수치와 현재 몸무게에 대한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고도비만을 체크해보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비민계산기는 성별, 키, 나이, 몸무게만 입력하면 바로 BMI 를 비롯하여 적정 몸무게 구간을 계산해주므로 건강 관리, 몸무게 책정에 있어 간단하고 편리하게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